오늘의 회화 및 시사용어/오늘의 시사용어

포모 증후군(PMO Syndrome)

아싸후르뱅뱅 2023. 4. 21. 15:37
반응형

포모 증후군(PMO Syndrome)은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훈련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훈련 이후 업무에 대한 혼란, 업무 수행 능력의 하락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PMO는 프로젝트 관리 사무실(Project Management Office)의 약자로,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 도구, 템플릿 등을 표준화하고 관리하는 조직입니다. PMO는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와 도구를 제공하고,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리스크를 감시하고, 이슈를 추적해 나가는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PMO 증후군은 PMO에서 제공하는 훈련이 너무 지나치게 일방적인 학습이며,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내용들을 강요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습 과정에서 기술 중심의 지식만 강조하는 경우나, 실제 업무와는 거리가 먼 프로세스나 도구를 적용하도록 강요하는 경우 등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PMO 증후군의 주요 증상으로는 프로젝트 수행 능력의 하락, 업무 수행에 대한 혼란, 업무와 관련된 부정적인 태도 등이 있습니다. PMO 증후군을 경험한 PM은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서 어떤 템플릿을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프로세스를 적용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판단이 혼란스러워지고, 이에 따른 업무 수행 능력의 하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MO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PMO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과 실제 업무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PMO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프로세스를 업무 수행에 맞게 적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PM은 PMO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필요한 부분을 적용할수 있도록 학습과 훈련을 진행해야 합니다. 또한, PMO에서 제공하는 훈련 이후에는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해보고,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적극적으로 PMO와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PMO의 역할과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PMO의 역할에 맞게 프로세스와 도구를 관리하고, 프로젝트 매니저는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PMO와 프로젝트 매니저 간의 협력과 소통이 필요합니다.

PMO 증후군은 PMO에서 제공하는 훈련이 너무 많은 경우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PMO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과 실제 업무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MO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PMO와 프로젝트 매니저 간의 협력과 소통이 필요하며, PMO에서 제공하는 도구와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필요한 부분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또한, PMO의 역할과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역할에 맞게 역량을 강화하고, 실제 업무와 PMO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와 도구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PMO와 프로젝트 매니저 간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이 필요합니다.

PMO 증후군은 PMO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이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외에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PMO와 프로젝트 매니저 간의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고, 학습과 훈련을 적절하게 수행하여 PMO 증후군을 예방하고,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반응형

'오늘의 회화 및 시사용어 > 오늘의 시사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  (0) 2023.04.22
인플레이션(Inflation)  (0) 2023.04.22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0) 2023.04.21
E플레이션(E-flation)  (0) 2023.04.21
뱅크런 (Bank Run)  (0) 2023.04.21